DSL
- Digital Subscriber Line
- 디지털 가입자회선은 기존의 전화선으로 고속 데이터를 통신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Symmetric DSL(업로드 속도와 다운로드 속도가 같아 대칭형DSL), Asymmetric DSL(업로드 속도를 낮추고 다운로드 속도를 높이는 비대칭형 DSL) 그리고 ADSL에 뒤이어 등장한 Very high-data rate DSL(초고속 DSL)이 있다.
TDM
- Time Division Multiplexing
- 전송로 하나에 신호 여러개를 중복 시켜 하나로 만들어 전송하는 다중화(Multiplexing) 방식의 하나로, 시간을 분할 한다는 개념이다. 음성 통신에선 좋지만 묶음이거나 통신을 하고 있지 않을 때도 슬롯을 가지고 있는 특성때문에 데이터 통신에선 좋지 않다.
- 미국 방식인 T1과 영국 방식인 E1이 있는데 T1은 선로 하나에 24명의 음성을 담자 (1.544Mbps) E1은 32명의 음성을 담자(2.048Mbps) 는 개념이다
DNS
- Domain Name Service
- 인터넷 주소창에 Host Domain Name을 입력 했을 때 해당 문자들을 IP 주소로 변환 시켜주거나 그 반대로 변환 시키는 서비스를 뜻 한다.
802.1
- IEEE 802의 표준에 따라 개발된 첫번째 기술이다. 포트 기반의 접근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인증 구조이다.
802.11
-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로 IEEE 802의 11번째로 개발된 표준 기술이다. 흔히 무선랜, 와이파이라고 부른다.
802.15
- IEEE 802의 15번째로 개발된 표준 기술이다. Bluetooth를 기반으로 한 기술이다.
RFC
- Request For Comments
- 현재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및 통신 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절차나 기술을 적어놓은 문서
Protocol
- 컴퓨터끼리 또는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정보교환이 필요한 경우, 이를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 정한 여러가지 통신 규칙과 방법에 대한 약속, 즉 통신의 규약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표준 프로토콜의 예가 인터넷에서 사용하고 있는 TCP/IP가 있다.
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통신 사업자가 통상적인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망으로 기존의 공중 전화망을 일컫는 용어이다.
-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유선전화를 의미한다.
PSDN
- Packet Switched Data Network
- 패킷들을 송출하여 비동기적으로 송수신하는 교환망이다.
Network
- net(그물)과 work(일하다)의 합성어로 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한 통신망을 뜻한다.
- 역사: 봉화대 → 전신기술 → 전화 → 컴퓨터 네트워크
- 네트워크는 Evolution(진화)와 Revolution(혁명)인 기술들이 있었다. 여기서 Revolution이란 라우터, 모뎀같이 모두 새로 깔아야 하는 것들을 의미한다.
Metro Ethernet
- 기존 LAN(Local Area Network)영역에서 사용 되던 Ethernet 기술을 Metro 즉 도시 전체나 몇개의 도시 구역의 영역에 확대 적용한 기술을 뜻함. 이더넷 망을 연결함으로 비용은 적게 들고 광케이블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속 데이터 서비스 제공 가능.
Fttx
- Fiber to the x
- 광케이블을 어디까지 보내느냐(x라는 미지수까지)에 따른 여러 기술을 총칭한다. 전화망을 대체하는 광의 네트워크 구조
- FttH(Fiber to the Home) 집 안까지 광 케이블을 보냄.
- FttC(Fiber to the Curb) 전신주까지 광 케이블을 보냄.
- FttB(Fiber to the Building) 아파트나 회사 건물까지 광 케이블을 보냄.
IPv6
- Internet Protocol version 6
- 128비트 길이이 식별자를 가진 IP 주소로, IoT와 휴대폰들이 무수히 많이 생겨나고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터넷 사용에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IPv4의 주소 부족 문젤 제기하고 새롭게 개발한 주소 체계이지만, 가상 IP가 사용되면서 국내에선 IPv6보다 IPv4를 사용중임 해외로 나가더라도 점유율이 높진 않다.
IPv4
- Internet Protocol version 4
- 32비트 길이의 식별자를 가진 IP주소로 인터넷 통신을 하기위해 필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공용으로 사용되며 인터넷 사용자 수가 급증하며 IPv4 주소의 고갈 문제가 대두 되고 있다.
- 하지만 Voip가 real ip뿐만 아닌 가상 ip에도 사용이 가능해지고, 사용자들이 체감되는 것이 없는것에 반해 비용은 들여야 한다는 점에서 IPv6로 넘어가는 현상이 지연되고 있다.
IEEE802.3
-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3 (전기 전자 기술 협회)
- Ethernet을 기초로 하는 모든 이더넷 표준들을 포괄한다.
Dark Fiber
- 광통신 할 때 사용하는 광케이블 중 사용하지 않는 광 케이블들을 의미한다. 전기를 깔면서, 철도를 깔면서, 도로를 깔면서 모두 광케이블을 깔아 두었지만 그중 사용 하지 않는 것들을 모두 Dark Fiber라 칭한다.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 개인이나 기업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 웹 사이트 구축, 웹 호스팅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회사들을 일컫는다. 국내에선 KT, SKT, LG U+가 있다.
CP
- Content Provider
- 인터넷 상에서 콘텐츠(그래픽, 음성, 동영상, 텍스트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를 지칭
ISDN
- 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기존의 음성전화, FAX, 화상전화 등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하나의 디지털 망으로 모든 서비스들을 통합한다는 개념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인터넷 프로토콜의 핵심 프로토콜로 IP와 함께 TCP/IP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손실에 민감하고 지연에 둔감하다. OSI 4계층에 해당된다.
- 특성: flow control(흐름 제어), connection management(연결 설정), segment structure(세그먼트 구조)
- TCP 헤더
- Source Port (16bit): 출발지 포트 번호를 표시
- Destination Port (16bit): 목적지 포트번호를 표시한다.
- Sequence Number (32bit): TCP 순서번호를 표시한다.
- Acknowledge Number (32bit): 상대방이 보낸 세그먼트를 잘 받았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번호.
- Offset (4bit): TCP 헤더 길이를 4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 Reserved (4bit): 사용하지 않는 필드이며 모두 0으로 표시한다.
- Flags (8bit): 제어 비트이다.
- Window size(16bit): 상대방 확인 없이 전송할 수 있는 바이트를 표시한다.
- Checksum (16bit): 헤더와 데이터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필드이다.
- Urgent Pointer (16bit): 긴급 포인트(데이터)
- Option (0~40byte): 추가적 옵션을 넣는 곳
UDP
- User Datagram Protocol
- 손실에 둔감하고 지연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OSI 모델의 4계층인 전송 계층에 해당된다.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된다. TCP로 간단한 영상을 보낼때도 조그만한 데이터를 못받았다고 버퍼링이 걸리기 일쑤이다.
-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로 망 관리 프로토콜을 뜻함 UDP/IP 프로토콜 사용
- UDP 헤더
- Source Port (16bit): 출발지 포트를 표시한다.
- Destination Port (16bit): 목적지 포트를 표시한다.
- Length (16bit):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한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 Checksum (16bit): 헤더와 데이터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필드이다.
SCTP
-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 번호 132를 사용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혼잡 제어를 통해 신뢰성 있는 순차적 메세지 전송을 보장한다.
MPTCP
- Multipath TCP
- IETF에 의해 표준화 된 기술로 TCP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다수의 TCP 경로를 구성하고 다수의 경로로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이다.
IP
- Internet Protocol
- 인터넷이 통하는 네트워크에서 어떤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뜻한다. OSI 3계층에 해당된다.
HFC
- Hybrid Fiber Coaxial
- 기존 TV 케이블인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인터넷)용도로 사용하는 기술을 뜻한다.
ITU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정보 통신과 관련된 국가 표준을 제정하는 UN의 산하 기구이다.
STM
- Synchronous Transfer Mode
- 동기 전송 모드는 ETSI의 표준화 광 네트워크 기술이다.
ATM
- Asynchoronous Transfer Mode
- 비동기 전송 방식으로 패킷 스위칭과 같이 일정한 길이 이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회선이 비어 있을 때 셀을 전송 하는 방식. 음성과 데이터 및 영상을 보낼 수 있어서 속도가 빠르다.
SDN
- Software Defined Networks
- 개방형 API를 통해 라우터와 스위치 같은 것들을 소프트웨어화 하여 제어/관리 하는 방식
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 전력선 통신이라는 뜻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에 실어 통신하는 기술이다. 전력의 영향을 받아 고속통신에선 사용하지 않는다. 예로는 인터폰이 있다.
Network neutrality
- 망 중립성이라는 뜻으로 인터넷 망을 사용하여 전달되는 모든 인터넷 트래픽과 데이터를 내용이나 유형, 장비, 전송방식에 차별 받지 않고 모든 데이터를 동등하게 취급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OTT
- Over The Top
-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방송, 프로그램과 같은 미디어 콘텐츠를 시청 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적인 서비스를 뜻한다. 대표적으로는 유튜브, 디즈니+, 넷플릭스가 있다.
MAC 주소
-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컴퓨터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있는 컴퓨터의 물리 주소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 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 총 4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 IP 주소와 다르게 해당 주소의 위치를 알려면 모든 주소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체계적이지 않은 주소이다.
DPI
- Deep Packet Inspection
-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패킷의 헤더와 페이로드 안의 정보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즉 패킷 정보를 모두 까보는 기술
Internet
- Internetwork의 줄임말로 TCP/IP를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을 일컫는 말이다.
- 여러개의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한 네트워크로 각 네트워크는 라우터를 통해 연결 된다.
Ethernet
- LAN 환경에서 거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네트워크 구성 방식으로 보통 유선인터넷이 된다면 이더넷이라고 생각하면 될 정도로 그 비율이 크다. IEEE 802.3 통신 규격이다.
- OSI에서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 포함된다.
- 다음 사진은 Ethernet Frame Format이다.
- Preamble
- 7byte의 크기로 수신 시스템에게 프레임이 도착하는 것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 SFD(Start of Frame Delimeter)
- 1byte의 크기로 정상적인 프레임의 시작을 표시하는 곳이다.
- Destination Mac Address
- 6byte의 크기로 패킷을 수신하는 목적지의 물리(MAC)주소이다.
- Source MAC Address
- 6byte의 크기로 패킷 송신자의 물리(MAC)주소이다.
- Type or Length(2 byte)
- 길이 또는 종류로 정의되어있다.
- Data/Payload
-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캡슐화 된 데이터가 들어있다.
- FCS
- DA~Data 영역을 계산하여 에러를 판별한다. CRC를 체크하여 에러프레임은 버린다.
- CRC는 Payload 값을 특정 코드로 나눠서 오류를 검출한다.
스위치
- 허브의 확장된 개념으로 기본 기능은 동일하지만 전송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를 지정할 포트를 직접 전송한다.
- L2스위치는 맥 주소, L3스위치는 프로토콜 주소, L4스위치는 세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스위칭 할 수 있다.
LAN
- Local Area Network
- 범위가 넓지 않은 일정 지역 내에서 다수의 컴퓨터나 사무 자동화 기기등을 속도가 빠른 통신 선로로 연결하여 기기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 망을 뜻한다.
- LAN에서 Ethernet을 이용한다.
WAN
- Wide Area Network
- LAN보다 더 큰 영역(범위)으로 광대역 통신망을 뜻한다.
- WAN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의해 구축된 네트워크이다.
MAN
- Metropolitian Area Network
- 도시 지역을 잇는 통신망을 뜻한다. LAN의 기능을 포함하면서 최대 범위는 약 75km정도이다.
- IEEE 802.6 접속 방식이 표준화 되어 있다.
Parity Bit
- 통신에서 송 수신되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종의 오류 식별자이다.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끝에 1비트를 더하여 전송하는 방법으로 Even Parity와 Odd Parity가 있다.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1’인비트 개수를 세어 짝수이면 Even Parity인 0을, 홀수이면 Odd Parity인 1을 설정한다.
PTN
- Packet Transport Network
- LAN 영역에서 사용되던 이더넷을 SONET/SDH 같은 고신뢰성 전송망 수준으로 개선하고 패킷 기반의 전송망을 위한 QoS를 가지게 함으로 영역을 MAN과 WAN에도 확장 할 수 있는 기술이다.
SONET/SDH
- Synchronous Optical Network / Sychoronous Digital Hierachy
- 전세계 장거리 전화망 광케이블 구간에 적용되는 물리계층 표준이다.
- Sonet은 미국 ANSI의 표준이며, SDH는 유럽 ITU-T의 표준이다.
RDT
- Reliable Data Transfer
- 신뢰성 있는 데이터 교환을 의미한다. 즉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오류없이 온전히 전송되는 것을 뜻한다.
IP class
-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를 나누는 방법이다.
- A class는 0으로 시작하며 2^24개 사용 가능
- B class는 10으로 시작하며 2^16개 사용 가능
- C class는 110으로 시작하며 2^8개 사용 가능
'대학교 수업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TCP 연결 설정 및 해제 과정 (0) | 2022.06.23 |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TCP 신뢰성 전송 (0) | 2022.06.23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Token과 Token Bus, Token Ring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SDN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nternet 품질 보장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