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ken
- LAN 망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한 제어 프레임을 뜻한다.
Token Ring
- 2개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전송할때 collision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생겼는데, 토큰을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가지고, 토큰을 가지고 있는 PC만 전송이 가능한 통신 방식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에게 기회가 공평하게 주어진다. 하지만 토큰을 가진 PC의 전원이 꺼지면 통신이 안되는데, 이때 새로운 토큰을 다시 생성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좋은 메모리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부담이 큰 통신 방식이다. 좋은 통신 방식이지만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IEEE 802.5로 표준화 되었었다.
Token Bus
- 토큰링과 버스 방식의 장점을 포함하는 방식으로서 물리적으로는 버스형으로 연결 되어 있으나 실제 동작은 논리적으로 구성된 링 형태로 수행된다. 토큰링 방식과 비슷하게 토큰을 사용하여 collision 발생 가능성을 제거 해주었다. 구조가 간단한 것이 장점이며, 토큰을 가진 PC가 꺼지면 새로운 토큰을 만들고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절차를 겪을 때 좋은 메모리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부담이 큰 통신 방식이다. IEEE 802.4로 표준화 되었었다.
'대학교 수업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TCP 신뢰성 전송 (0) | 2022.06.23 |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네트워크 용어 정리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SDN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nternet 품질 보장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nternet에서 Delay 요소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