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로는 통합형 서비스(Intergrated Service)로 자원 예약 방식이 있다.
- 사전에 자원을 예약하는 방식에 의하여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하는 모델로 들어오는 패킷을 흐름별, 세션별로 분류하여 자원을 예약하고 예약 되어 있는 서비스에 대해서만 자원을 할당 시켜 품질을 보장함.
- 계층별 QoS보장 기술
- IntServ: 자원 예약이 필요하다. 소규모 (LAN)에서 이용된다.
- DiffServ: 서비스 등급 차별화, 대규모 (WAN,MAN)에서 이용된다.
두 번째로는 차등 서비스(Differentiated Service)이다.
-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진 못하지만, 차등화 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자는 취지이다.
- 패킷에 등급을 붙여놓고 높은 등급을 가지고 있는 패킷을 우대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ToS(Type of Service)를 살리자는 것이다.
'대학교 수업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Token과 Token Bus, Token Ring (0) | 2022.04.27 |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SDN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nternet에서 Delay 요소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TCP UDP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P2P Architecture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