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TCP 연결시엔 3-way Handshaking을 사용한다.
- 클라이언트가 TCP 연결을 위하여 SYN 패킷을 보내어 연결을 요청한다.
- 서버가 SYN 패킷을 받고, 클라이언트로 받았다는 신호인 ACK와 SYN 패킷을 전송 해 준다.
- 클라이언트는 SYN + ACK 신호를 받았다는 의미로 ACK 패킷을 서버에 다시 보내어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TCP 연결이 설정된다. 3번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TCP 3 way HandShaking이라고 불린다.
둘째, TCP 연결 해제시엔 4-way Handshaking을 사용한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TCP 연결 종료를 위하여 TCP 헤더 flag에 있는 FIN을 보낸다.
- 서버는 FIN을 받고, 남은 데이터 저장을 위한 ACK를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
- 그 이후, FIN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어 연결 해제를 확인 했다는 신호를 보내어준다.
- 클라이언트는 FIN을 받고, ACK를 보냄으로써 연결 해제가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TCP 연결 해제가 된다. 4번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TCP 4 way HandShaking이라고 불린다.
'대학교 수업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TCP/IP의 Congestion Control (0) | 2022.06.23 |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TCP 신뢰성 전송 (0) | 2022.06.23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네트워크 용어 정리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Token과 Token Bus, Token Ring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SDN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