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줄임말
- Loss sensitive(손실에 민감함), Delay insensitive(지연에 둔감)
- 데이터의 수신 확인, 재전송 요구을 해줌 고로 속도가 느림
- 특성: flow control(흐름 제어), connection management(연결 설정), segment structure(세그먼트 구조)
- OSI 7 Layer의 4계층에 해당한다.
- 예 : MRI촬영은 환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라 느리더라도 확실하게 손실 없이 제대로된 데이터를 받아오는 것이 중요하므로 신뢰성 있는 TCP를 사용한다.
- TCP 헤더
- Source Port (16bit): 출발지 포트 번호를 표시
- Destination Port (16bit): 목적지 포트번호를 표시한다.
- Sequence Number (32bit): TCP 순서번호를 표시한다.
- Acknowledge Number (32bit): 상대방이 보낸 세그먼트를 잘 받았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번호.
- Offset (4bit): TCP 헤더 길이를 4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 Reserved (4bit): 사용하지 않는 필드이며 모두 0으로 표시한다.
- Flags (8bit): 제어 비트이다.
- Window size(16bit): 상대방 확인 없이 전송할 수 있는 바이트를 표시한다.
- Checksum (16bit): 헤더와 데이터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필드이다.
- Urgent Pointer (16bit): 긴급 포인트(데이터)
- Option (0~40byte): 추가적 옵션을 넣는 곳
2️⃣ UDP
- User Datagram Protocol의 줄임말
- Loss insensitive(손실에 둔감), Delay sensitive(지연에 민감)
- TCP와 다르게 수신확인, 재전송 요구 같은 것은 하지 않음 고로 속도가 빠름
-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로 망 관리 프로토콜을 뜻함 UDP/IP 프로토콜 사용
- OSI 7 Layer의 4계층에 해당한다.
- 예 : 실시간으로 바로바로 통신되는 전화, 영상같은 것들 예로 카카오톡, 유튜브 같은 끊기면 안되는(실시간) 작업들은 지연에 민감한 UDP를 사용한다.
- UDP 헤더
- Source Port (16bit): 출발지 포트를 표시한다.
- Destination Port (16bit): 목적지 포트를 표시한다.
- Length (16bit):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한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 Checksum (16bit): 헤더와 데이터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필드이다.
'대학교 수업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nternet 품질 보장 (0) | 2022.04.27 |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nternet에서 Delay 요소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P2P Architecture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Packet Switching과 Circuit Switching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SO OSI 7 Layer의 목적과 각 계층의 기능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