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acket Switching -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쪼개서 전송하는 방식
장점
- KISS(Keep it Simple Stupid)에 따라 장비가 싸다 - 시작점(source)과 도착점(destination)의 정보를 제외하고 자세한 기록을 하지 않고, 지나다니는 데이터를 읽을 수 없기 때문에 장비가 저렴하다.
- 하나의 선 즉 공용선으로 여러명이 이용하고 공용선을 통한 회선 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기에 자원 활용이 좋다.
단점
- 패킷이 라우터로 이동하기 위해서 큐에서 대기하는데 이 때 패킷망이 큐의 범위를 초과하면 손실이 발생 한다.
2. Circuit Switching - 하나의 회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형식
장점
- 회선 전체를 독점(dedicate) 하기 때문에 다른 데이터가 끼어들지 못한다. 고로 속도가 일정하고, 품질이 보장된다.
단점
- Packet Switching에 비해 자원의 낭비가 매우 심하다.
- 장비들이 비싸다.
IP로 가는 이유
- All IP 서비스가 되면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장비들도 늘어나고 트래픽 패턴이 예전에 사용하던 작은 용량의 데이터들이 아닌, 고화질 영상, 음성데이터로 데이터 양은 점점 늘어나지만 수익은 변화하지 않아 가격이 싼 장비를 사용 할 수 밖에 없다. 고로 Packet Switching의 장점과 같이 장비가 저렴하고 자원 활용이 좋으므로 All IP로 가는 추세이다. IP는 검증된 프로토콜이며, KISS이다.
'대학교 수업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nternet 품질 보장 (0) | 2022.04.27 |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nternet에서 Delay 요소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TCP UDP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P2P Architecture (0) | 2022.04.27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ISO OSI 7 Layer의 목적과 각 계층의 기능 (0) | 2022.04.27 |